
과거 어린 시절 아버지의 차를 타고 이동할 적에 길을 찾기 위해 1열 뒷좌석의 포켓에 지도를 넣어서 조수석의 어머니가 길을 살피시고 안내하시던 기억이 납니다. 세월이 흘러 저희 어머니의 역할을 내비게이션이라는 당시 혁신적인 아이템이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지금 보면 창문에 부착을 하여 다소 투박해 보이는 디자인과 시야를 방해하며 여름이 되면 열을 받거나 밝기가 충분하지 못하여 여러 곤욕을 치르곤 했습니다만. 비로소 조수석의 운전조수는 단순한 승객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지금의 자동차 기술은 자율주행을 코앞에 둔 시점으로 운전자 또한 승객이 되어 가는 과정에 있습니다. 그 배경을 열어주는 과정에 과거의 내비게이션은 인포테인먼트가 되며 승객에게 더욱 다양한 엔터테인먼트와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수세기에 걸쳐 자동차는 진화해왔습니다. 예를 들면 과거 자동차는 '주행성능'에 초점을 맞추어 왔었죠 "더 빠르게" 최근까지의 자동차는 '편의'에 그 초점을 맞췄습니다. "더 편하게" 그리고 지금은 모든 자동차 시장은 '경험'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 더 다양하게" 운전자는 더 이상 운전자일 필요가 없는 시대가 코앞까지 왔습니다. 자율주행 4단계 완전 자율주행이 개발이 되고 있습니다. 고로 승객이 된 운전자와 동승자들은 운전과 편의 이외에 무엇인가 집중 혹은 소비를 해야 하는 시대가 도래하는 것 이겠죠. 예를 들면 운전자가 운전을 하지 않는다면, 퇴근길에 인터넷을 활용하여 필요한 저녁 장바구니를 주문한다던가. 새벽 배송을 이용하여 다음날 입을 드레스를 구매한다던가. 장거리의 지루함을 달래줄 영화를 결..

자동차 시장의 하락은 모트렉스에게 위기일까요? 1. 자동차 시장의 하락 그렇다면 모트렉스는 줄어드는 자동차 시장에서 무사할 수 있을까요? 위의 자료에서 볼 수 있듯이 자동차의 시장은 매년 하락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심지어 2019년 총판매대수는 800만 대를 넘지 못했습니다. 시장이 줄어들고 있다는 사실은 부정하기 힘들어 보입니다. 2. 전기차 시장의 성장 위의 자료는 2017년 S&T GPS에서 제공한 자료입니다. 보았을 때 전체 판매량 예측이 지금과 비교했을 때 다릅니다. 반면 전기자동차의 시장은 2020년 10%을 차지하며 위의 자료보다 높게 기록되었습니다. 3. 테슬라 관련주? 2020년 3월 모트렉스는 상한가를 기록하며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당시로 돌아가 뉴스들을 살펴보면 '테슬라의 누적 판매 ..

스마트 카시장의 기대주는 어떻게 위기를 극복하였나? 모트렉스의 위기를 통해서 기업문화를 이해해 보고 공유해보아요 모트렉스는 국내 인포테인먼트를 개발 생산하여 국내 기업의 자동차와 해외의 메이저 회사들과 협력하며 인포테인먼트 장비를 수출하고 있는 회사입니다. 또한 스마트카 시장의 진출을 진행 중에 있습니다. 국내 메이저 자동차 회사들과 더불어 아주 중요한 회사라고 생각합니다. 1. 모트렉스의 성장 꾸준한 성장 모트렉스는 사업 초기 단계에서 자동차 부품의 유통부터 시작하여 지금 스마트 카시장의 기술 등을 선도하며 승승장구 해왔습니다. 하지만 회사를 한 사람의 인격처럼 바라본다면 크던 작던 위기가 찾아온 적이 있지 않을까요? 2. 위기- 러시아의 환율 폭등 가장 큰 거래처의 위기 최고를 달리던 2015년도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