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티플레져를 느끼고 싶지 않아 구독 비즈니스를 선택합니다.
구독 경제가 왜 인기인가요?
구독 기반 경제는 지금 존재하는 거의 모든 제품이나 서비스에서 그 예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이토록 인기가 많을 수 있는 이유는 트렌드에 적합하기 때문입니다. 기존의 모든 제품과 서비스는 구매 즉 소유로 연결되어 왔습니다. 물건이나 서비스를 소유한다는 개념이 맞았기 때문입니다. 지금의 소비자는 소유의 개념보다 경험의 개념이 더욱 커지며 실제로 무언가를 가지는 것에 돈을 지불할 욕구를 느끼지 못합니다. 구매하는 대신 구독을 통해 더욱 다양한 항목을 사용해보고 가장 마음에 드는 항목을 찾을 수 있으며, 이 모델을 사용하는 기업은 고객의 반복적이고 예측 가능한 수익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고객과 기업 모두 윈윈 할 수 있는 시스템이죠. 또한 고객과 반복적으로 관계를 맺는 것은 기업이 비용을 지불할 의사가 있는 소비자를 찾기에 좋은 기능으로 작용합니다. 서비스가 더 이상 가치를 제공하지 않을 경우 고객은 떠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하지만 미리 예측할 수 있다면 매출 성장과 하락을 쉽게 예착할 수 있으며, 시간에 따라 가치에 대한 고객의 인식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구독 비즈니스에서 고객이 원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관계를 수익화하는 과정은 고객에게 상당한 이점이 있습니다. 기업은 가치를 일관되게 보여야 하겠죠. 즉, 고객이 기업이 성장하는 방향을 지시할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다는 뜻입니다. 고객의 입장에서 원하는 것이 조금이라도 어긋나 버린다면, 그들은 경쟁사로 쉽게 떠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기업의 성공은 모두 저렴하고 탁월한 고객 경험을 제공하는 데 있습니다. Forbes는 관련하여 경제 통계를 제공했습니다. 박스 회사든 미디어 콘텐츠 제공업체든 간에 고객의 초점은 3가지로 요약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편리함, 비용, 새로운 경험 이렇게 세 가지의 주요 키워드를 찾을 수 있습니다.
편리함
많은 구독 모델을 가지고 있는 회사들은 고객의 삶의 일부 측면을 자동화한다는 개념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이메일 통해 뉴스레터를 받아 중요한 뉴스만 본다던지 본인이 선택한 스타일의 옷을 우편으로 받아볼 수 있는 서비스 라던지 여러 편리함을 찾아 구독을 합니다. 이러한 사용 편의성은 잠재 고객에게 매력적인 요소로 작용합니다. 해외의 통합 플랫폼 Zapier를 고려해볼 필요가 있는대요. 사용자는 이 소프트웨어로 인해 작업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이 소프트웨어에 대한 구독을 갱신하려고 합니다. 고객은 서로 다른 툴 사이를 탐색할 필요 없이 Zapier를 사용하여 작업하는 플랫폼을 연결할 수 있죠. 고객은 일상에서 더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해 기꺼이 프리미엄을 지불합니다.
비용
진입 장벽이 낮아지면 고객은 서비스가 제공하는 가치를 더 쉽게 평가하고 자신의 요구에 적합한지 결정할 수 있습니다. 이는 영구 라이선스 모델에 비해 구독 모델의 장점 중 하나로 꼽힙니다. 월 구독료 만원을 내는 것은 영구 소프트웨어에서 50만 원에 구입하는 것보다 덜 괴로운 일이죠. 소비자가 소비하며 길티 플레저를 느낀다면 구독의 경우 그나마 덜 죄책감을 느낄 수 있게 되겠죠. 쉽게 유저를 확보할 수 있기에 고객은 회사와 관계에서 더 많은 힘을 얻게 됩니다. 그들의 지불 의지는 그들이 받는 가치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가치가 없다고 느끼면 더 이상 지불 의지도 함께 감소합니다.
새로운 경험
구독 서비스는 고객에게 편의를 위해 새로운 기능이나 큐레이팅 된 결과물을 선택하게 하고 고객이 선택하게 되면 새로운 데이터로 사용되어 소비자에게는 더 나은 경험을 제공하고 기업은 그 데이터를 활용하여 또 다른 새로운 경험을 위한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됩니다. 유튜브에서 알고리즘이 추천하는 영상을 시청한 시간에 따라 나의 행동을 분석하고 추천하며 짧은 영상을 시청하는 사람들을 위해 유튜브 쇼트 같은 프로덕트를 내놓을 수 있게 됩니다.
2021.04.14 - [국내 비즈니스] - OTT 콘텐츠 소비시장을 위한 알로이스의 제품과 전략
OTT 컨텐츠 소비시장을 위한 알로이스의 제품과 전략
OTT 컨텐츠 소비시장을 위한 알로이스의 제품과 전략 이미 전 세계적으로 이슈화 되는 OTT 플랫폼. 스마트폰, 태블릿, TV, PC 어디에서나 원하는 콘텐츠를 원하는 시간에 볼 수 있는 세상이 되었습
watodesign.tistory.com
2021.03.21 - [해외 비즈니스] - MZ 세대와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 브랜딩과 마케팅 트렌드
MZ 세대와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 브랜딩과 마케팅 트랜드
MZ 세대와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브랜딩과 마케팅 트랜드 MZ세대란, 1980년부터 1996년생까지를 일컫는 밀레니얼 세대와 1997년부터 2010년 출생자를 뜻하는 Z세대를 합쳐 일컫는 말입니
watodesign.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