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많은 사람에게 도달하고 충성도가 높은 고객으로 전환하려면 온라인으로 잠재고객을 만나야 합니다. 디지털 브랜딩을 잘활용하면 물리적인 위치에 관계없이 브랜드 인지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디지털 마케팅과 디지털 브랜딩은 종종 함께 사용되지만 같은 의미가 아닙니다. 디지털 브랜딩은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충성도를 높입니다. 반면에 디지털 마케팅은 매출을 창출하고 비즈니스가 새로운 고객을 찾도록 돕는 것입니다. 디지털 브랜딩의 구성요소 성공적인 디지털 브랜딩을 위한 몇 가지 중요한 점을 중심으로 다루려고 합니다. 개성있는 로고 로고는 고객이 브랜드와 연관시키는 첫 번째 이미지입니다. 잘 알려진 로고의 예로는 IBM의 8줄 로고와 애플의 한입 배어문 애플로고가 있습니다. 로고가 중요한 이유 로고가 중요한 이유는..

1992년도 나이키에게 배우는 브랜드와 마케팅 지금의 나이키는 브랜딩의 챔피언이지만, 나이키가 마케팅의 중요성을 깨달은 것은 사업을 시작하고 나서 한참 뒤였습니다. 창업 초기, 나이키를 10억 달러 매출 기업으로 만들어준 공식이 있었습니다. 제품을 혁신하고, 생산을 잘해서, 훌륭한 선수들에게 신발을 신게 만드는 것이었죠. 하지만 이 공식으로는, 10억 달러 이상의 회사를 만들 수는 없었습니다. 사업을 시작한 지 20년 가까이 되었을 때에야 비로소 나이키는 처음으로 마케팅의 중요성을 인지했습니다. 즉, 제품이 아니라, 고객에 집중해야 한다는 사실을 뒤늦게 깨달은 것이죠. 그 후, 나이키는 전략을 완전히 바꿉니다. 그들에게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던 제품을 마케팅 도구로써 바라봤습니다. 그렇게 나이키는 연구실이..

MZ 세대와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브랜딩과 마케팅 트랜드 MZ세대란, 1980년부터 1996년생까지를 일컫는 밀레니얼 세대와 1997년부터 2010년 출생자를 뜻하는 Z세대를 합쳐 일컫는 말입니다. 즉 이들은 소비시장의 중요한 고객들이며 주 타겟이 됩니다. '우리'를 더 중시했던 기성세대와는 다르게 자기애가 더욱 강한 MZ세대는, 스스로의 만족을 중시하며, 자신이 좋아하는 것에 투입하는 돈이나 시간을 아끼지 않는 성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기성세대와 구분되는 탓에 기업들도 많은 변화가 있었습니다. 기존의 '설득'은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마케팅이 되고 있으며, 다양한 브랜드는 그들에게 브랜드의 고유한 개성을 제시하며 '팬'층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I feel Gucci" 구찌는 주 소비층인 MZ세대를 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