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에서 서비스하는 알뜰 요금제 브랜드로 kt m모바일이 있습니다. 또한 국내 최초 esim 지원하는 tplus 비교를 해보고 장점과 단점을 알아보겠습니다. 알뜰 요금제로 저렴하게 자신에 맞는 요금제로 지출을 줄일 수 있다면 좋겠습니다.

 

 

국내 알뜰요금제 통신사 

국내 알뜰요금이 불과 몇 년 전에는 다소 생소했지만 지금은 어느 홈페이지에서도 인증을 받기 위해 알뜰폰 통신사를 지원합니다. 이제 당당하게 알뜰요금제를 통해 보다 저렴하고 질 좋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기존 요금보다 2배 혹은 더 많이 저렴하지만 같은 회선을 사용하기에 서비스와 통화 품질은 보장받으며 사용할 수 있습니다. 

 

 

tplus 티플러스

국내 알뜰요금제 지원 통신사는 이제 정말 다양해서 이제 세기가 힘들 정도로 많아졌습니다. 그중에서 티플러스는 국내 최초로 esim을 지원을 해서 아이폰에서 1개의 폰에서 2개의 회선을 사용할 수 있게 지원합니다. 해외에서는 이미 익숙하게 사용하지만 국내에서는 it강국이라는 이름이 무색할 정도로 esim에 대해 인색해왔습니다. 결국 메이저 통신사는 지원을 하지 않고 있는데 국내 알뜰 통신사에서 처음으로 지원을 했습니다. 티플러스가 바로 그 주인공입니다.

  • 장점 : 아이폰은 물리심을 추가 지원하는 모델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해외 일부 모델을 국내에 들여와서 사용해야합니다. 2개의 회선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그동안에는 휴대폰 하나를 추가로 들고 다녀야 했습니다. 하지만 티플러스 esim요금제를 통해 더 이상 폰을 가지고 다지니 않아도 됩니다.
  • 단점 : 실제로 사용해보니 서비스는 해외의 것과 비슷하지만 휴대폰을 포맷하거나 다른 esim QR코드를 통해 변경하게 된다면 다시 고객지원센터에 전화를 해서 다시 esim 비용을 지불하고 다시 바코드를 받아야 합니다. 

해외에서 받은 esim QR코드는 그저 다시 스캔해서 무제한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반면 이해가 가지 않는 구조로 한국만 쓰는 공인인증서처럼 이상한 문화로 자리잡을까봐 겁납니다. 한국에서는 아직 esim 보다는 물리심이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esim을 지원하는 통신사가 생기지 않는다면 다소 사용하기 이른 것 같습니다. 

 

 

KT M모바일

다양한 알뜰 통신사 중 가장 만족도가 높았던 통신사입니다. 알뜰 요금제의 금액이 비교적 저렴하고 kt에서 제공하는 대부분의 서비스를 m모바일 알뜰 브랜드에서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 장점 : kt에서 제공하는 대부분의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해외 로밍, 저렴한 요금, 통화품질, 데이터 쉐어링 등 요금 말고 떨어지는 게 없다고 생각이 들 정도로 사용하며 불편한 점이 없었습니다.
  • 단점 : kt와 완전히 같다고 할 수 없어서 kt포인트를 사용하거나 모바일 앱에서 지원되는 서비스가 kt보다 적고 사용성이 조금은 불편합니다. 

사용을 하게 된다면 kt m모바일이 서비스나 고객서비스팀 등 기존의 인프라와 비교 손색이 없을 정도로 스트레스가 적습니다. 유명하지 않은 알뜰요금제를 제공하는 통신사 중에는 고객센터와 통화하기 어렵거나 유선으로 제공하지 않는 경우도 있지만 대기업에서 하는 거라 그런지 완성도가 높고 초알뜰 요금제도 잘 찾아보면 5천 원 이하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국내에서 고려할 수 있는 알뜰요금제 제공 통신사는 정말 많습니다. kt skt 등 기존의 회선을 공유하는 알뜰요금제는 품질이나 속도 등 떨어지는 건 느낄 수 없었습니다. 반면 해외에서는 일반적인 esim 등 서비스의 문화가 자리 잡히기까지 조금은 사용하지 않는 게 정신건강에 좋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