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beauty트랜드로 바라본 아르티코블랑의 경쟁력
인디고박스 : 제품 경쟁력과 차별화 전략
미국 뷰티시장 동향
K-pop의 열풍으로 해외의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한국. 그로인해 한국의 다양한 산업 트랜드가 빠르게 글로벌화 되고 있습니다. 이는 K-beauty 산업에도 예외는 아니었습니다.
뷰티시장 전망
2014년 부터 미국의 퍼스널 케어제품 시장규모는 약 1200억 달러 규모로 시작되어 2020년 이후 연평균 4%씩 성장 해왔습니다. 2020년까지 약 1600억 달러까지 성장하였으며, 2025년도 까지 약2100억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글로벌 시장에서 화장품은 미국이 가장 소비가 높았으며, 2015년 한국 화장품 대미 수출 규모는 2억 달러로 전년 대비 71.5%의 성장률을 기록하였으며, 매년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떤 전략이 해외시장에서 유리할까요?
진출과제
1. 가격정책
성장 가도에서 K-beauty 확산을 위한 전략이 필요합니다. 한국 화장품 가격이 판매처에 따라 편차가 큽니다. 따라서 합리적이고 현실적인 가격정책이 필요하죠.
2. 원료선정
독특한 원료는 경쟁력이 될 수 있지만 한국 외 나라의 경우 보수적일 수 있는 소비자들을 설득하기 위한 노력과 비용이 발생할 것 입니다.
3. 미투제품
브랜드의 파워와 제품 다양성이 필요합니다. 글로벌 기업 유사 제품과 경쟁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새롭게 탄생한 브랜드의 경우 브랜드의 잠재력이 관건인 것이죠.
이들의 전략
원료부터 제작까지 인디고 박스의 기술력
한국의 인디고박스는 화장품 제조업으로 자체 브랜드 '아르티코블랑'을 출시하였습니다. 피부 전문가들은 공장과의 긴밀한 소통을 통해 원료선정부터 배합 그리고 효능을 꼼꼼히 점검하여 기술력을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했습니다.
가격 정책
아르티코블랑의 독특한 패키지는 주 소비층인 밀레니얼 세대의 행동 패턴을 개선하였습니다. (간편하게 소지하는 휴대성) 또한 브랜드 이미지가 취하는 거품을 줄이고 현명한 소비가 가능한 가격정책을 펼칠 수 있었습니다.
코맨트
기발하고 독창적인 패키지와 레이블로 밀레니얼 세대의 제품으로 타겟팅이 되고 샘플과 트레블 사이즈로 고객들에게 체험 기회의 제공과 구매전환까지 신경 쓴 아르티코블랑은 한국의 피부 전문가들의 노력과 함께 K-beauty를 선도할 수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