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We Are The One

WATO

입니다.

 

저번 글에서 자동차 디자인 스킬 중 가장 기본이 되는

스케치와 랜더링에 필요한 스킬들을 알아보았습니다.

2020/08/25 - [자동차 디자인 Skills] - 자동차 디자이너의 디자인 기초 미술에 필요한 이론

 

자동차 디자이너의 디자인 기초 미술에 필요한 이론

안녕하세요 WeAreTheOne WATO 입니다. 오늘은 디자인뿐 아니라 미술이론에 대하여 정리해보겠습니다. 우선 디자인에 필요한 스킬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스케치/랜더링/모델링 스킬적으로 크게 �

watodesign.tistory.com

 

이번 포스팅에는 Free hand sketch을 위하여 필요한 스킬을 알아보겠습니다.

누구나 그림을 그리지만 열심히 그린 그림 중 누구의 그림은 너무 힘이 들어가 어색한 반면

어떤 사람의 스케치는 선을 대충 던져 놓은 것 같은데 굉장히 느낌 있게 보인 경험이 있으신가요?

 

선을 그리는 것은 가장 단순하면서도 가장 중요한 기본입니다.

학원을 다녀도 강의를 들어도 100번 강조해도 부족한 부분이죠.

 

그렇다면 어떤 선이 자동차를 그리기에 예쁜 선일까요?

'사실 정답은 없습니다. 본인에게 맞는 스타일을 찾고 발전해나가면 됩니다.'

하지만

시작을 도울 수 있습니다.

스타일을 찾기 전까지 무수한 그림들을 그리며 본인의 스킬을 발전하셔야 합니다.

그렇다면

올바른 방법을 손에 익히는 수밖에 없겠죠.

 

자동차 디자인에 쓰이는 선에 대해 알려 드리자면 아래의 이미지와 같습니다.

-아 래-

보시듯 동그라미 친 부분의 선은 무엇이 다를까요?

하나의 선 안에 line weight 즉 강약이 들어가 있습니다.

반면에 다른 선들은 시작에서 힘이 들어가 있거나,

강약이 전혀 없거나, 반듯하지 않거나, 힘이 없습니다.

이런 선 들이 틀린 선이 라고 절대 말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강약이 들어가 있는 선으로 연습을 하면 아래의 모든 선을 필요에 의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반면

다른 아래의 방법들로 시작을 하면 모든 선을 사용하기 힘들거나 나쁜 습관으로 나중에

다른 것들을 시작하기에 방해가 됩니다.

즉,

확장성을 위해서 저희는 모든 선을 연습할 수 있는 방식으로 연습을 시작하겠습니다.

 

선 연습

준비물 : A3 종이 / 볼펜 / 휴지

 

방식은 간단합니다.

선을 연습하는 방식은 위의 이미지처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선을 긋는 건데요.

여기서 몇 가지 중요한 포인트를 말씀드리겠습니다.

 

 

동그라미 부분처럼 완전히 힘이 없는 상태로 종이에 팬으로 몇 cm 정도 긋고

뒤에 부분을 앞에 날린 만큼 날려주는 것이죠. 

처음 하면 생각보다 일정하지 않게 나옵니다. 

 

또한

선이 반듯한 느낌보다는 부채모양으로 선이 휘게 그려집니다.

이것은 팔꿈치를 이용해서 그리기 때문입니다.

반듯한 선을 그리기 위해서는 어깨로 그린다는 느낌으로 선을 그으며,

몸이 옆으로 따라간다 라는 느낌으로 연습해주시면 됩니다.

또한 약간 U자로 그려준다고 생각하시면서 직선에 가깝게 잡아주시면 됩니다.

종이를 뒤집어서 보시면 선이 반듯하게 그려졌는지 알 수 있습니다.

 

가로선을 연습 후에는 새로 선과 대각선도 연습을 합니다.

 

가로 새로 대각선이 끝났다면, 원을 연습해 봅니다.

원은 한 번에 그린다는 느낌보다는 2~3회에 걸쳐 공중에서 연습을 해본 뒤,

종이에 2~3회 정도 선을 그으며 약한 선부 터 강한 선까지 연습해 봅니다.

생각보다 원이 정원보다는 타원에 가깝게 그려지시나요?

신기하게도 연습을 통해 원이 점점 정원에 가까워질 수 있습니다.

확인해보세요 원을 그릴 때 목이 한쪽으로 기울고 있는지!

(많은 후배, 학생들이 머리를 기울이고 연습을 하더라고요)

 

원이 끝났다면 원안에 타원도 연습해 보세요.

앞, 뒤 장에 하루 1장 이상 연습하시면 분명 엄청난 도움이 됩니다.

제가 존경하는 디자이너분은 지금 나이가 50이 넘으셨는데,

아직도 하루 앞뒤 두장씩 연습하시고 계십니다.

 

너무나 당연한 기초이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기초 작업이라고 생각합니다.

다음 포스팅에는 이 선을 활용한 형태를 잡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반응형